오늘은 사무엘하 18-19장을 살펴보겠습니다. 이 두 장은 다윗의 아들 압살롬이 반란을 일으킨 후 그의 죽음과, 그로 인한 다윗의 슬픔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반란이 끝난 후 다윗이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는 과정과 그 사이에 일어난 일들을 담고 있습니다.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부모의 사랑, 용서, 그리고 권위를 회복하는 과정에서 겪는 고통에 대해 배울 수 있습니다.
1. 압살롬의 죽음 (사무엘하 18장)
A. 압살롬의 전쟁과 죽음
사무엘하 18장은 다윗의 군대와 압살롬의 군대가 맞붙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다윗은 군대를 세 무리로 나누어 요압, 아비새, 잇대에게 지휘하게 하였고, 전쟁에 나가는 이들에게 압살롬을 상하게 하지 말라고 명령했습니다. 하지만 전쟁에서 압살롬은 다윗의 군대에 의해 패배하게 되었고, 도망치던 중 나무에 머리가 걸려 매달리게 되었습니다. 그때 요압이 압살롬을 죽였고, 다윗의 아들은 결국 전쟁터에서 생을 마감하게 됩니다. "요압이 이르되 내가 너와 함께 있으리라 하고 그의 손에 세 개의 창을 가지고 상수리나무에 달린 압살롬의 가슴을 찌르니라." (사무엘하 18:14) 압살롬의 죽음은 다윗에게 큰 충격이었으며, 그는 이 소식을 듣고 크게 슬퍼했습니다.
B. 다윗의 슬픔
압살롬의 죽음 소식을 들은 다윗은 깊은 슬픔에 빠졌습니다. 그는 아들의 반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압살롬을 사랑했으며, 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어려워했습니다. "왕이 심히 노하여 성문 위로 올라가서 통곡하였더라. 그가 가로되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아, 내 아들 압살롬아! 차라리 나를 대신하여 죽었더면 좋았을 것을! 내 아들 압살롬아, 내 아들아!" (사무엘하 18:33) 다윗의 이 통곡은 자식에 대한 부모의 깊은 사랑을 보여줍니다. 반역의 아들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윗은 압살롬을 끝까지 사랑했습니다.
교훈:
- 부모의 사랑은 조건이 없다: 다윗의 반응에서 우리는 부모의 사랑이 얼마나 깊고 조건 없는 것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압살롬이 반란을 일으켰음에도 다윗은 그를 사랑했으며, 그의 죽음을 슬퍼했습니다. 부모의 사랑은 자식의 잘못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사랑입니다.
- 결과에 대한 책임: 압살롬의 죽음은 그의 반란의 결과였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하며, 특히 교만과 반역은 파멸로 이끌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2. 다윗의 복귀와 용서 (사무엘하 19장)
A. 다윗의 복귀
압살롬의 죽음 이후 다윗은 다시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다윗의 복귀는 모든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큰 의미가 있었고, 그의 권위를 회복하는 과정이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윗은 자신에게 반대했던 사람들을 용서하고, 백성들의 마음을 다시 모으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왕이 길르앗 사람 바르실래에게 이르되 네가 나와 함께 건너가자. 내가 예루살렘에서 너를 돌보리라." (사무엘하 19:33) 다윗은 자신에게 충성한 사람들에게 감사의 뜻을 전하며, 그들의 헌신을 인정했습니다.
B. 시므이의 회개와 다윗의 용서
다윗이 예루살렘으로 돌아오자 시므이가 다윗을 찾아와 용서를 구했습니다. 시므이는 이전에 다윗을 저주했던 사람이었지만, 이제 다윗 앞에 엎드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구했습니다. 다윗은 시므이를 용서하며 그를 죽이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다윗이 시므이에게 이르되 네가 죽지 아니하리라 하고 그에게 맹세하니라." (사무엘하 19:23) 다윗의 용서는 그의 넓은 마음과 하나님 앞에서의 겸손을 보여줍니다.
교훈:
- 용서의 중요성: 다윗은 자신을 저주했던 시므이를 용서했습니다. 용서는 관계를 회복하고 새로운 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함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해야 합니다.
- 권위의 회복: 다윗은 왕으로서의 권위를 회복하기 위해 백성들을 포용하고, 반대자들을 용서했습니다. 진정한 지도자는 사람들을 포용하고 용서할 줄 아는 사람입니다.
현대적 적용: 부모의 사랑과 용서의 삶
A. 조건 없는 사랑의 중요성
다윗이 압살롬을 사랑한 것처럼, 부모의 사랑은 조건이 없습니다. 우리도 우리의 가족을 사랑할 때 조건 없이 사랑하며, 그들의 잘못에도 불구하고 끝까지 함께해야 합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조건 없이 사랑하신 것처럼, 우리도 그 사랑을 본받아야 합니다.
B. 용서를 통한 관계 회복
다윗의 용서는 우리에게 용서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우리는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함으로써,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신 것처럼 다른 사람들에게도 자비를 베풀어야 합니다. 용서는 관계를 새롭게 하고, 공동체를 다시 세우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결론: 사랑과 용서로 이루어진 삶
사무엘하 18-19장은 압살롬의 죽음과 다윗의 슬픔, 그리고 다윗의 용서를 통해 부모의 사랑과 용서의 중요성을 가르쳐줍니다. 우리는 조건 없는 사랑으로 가족을 대하고,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들을 용서함으로써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해야 합니다.
"조건 없는 사랑과 용서를 통해 하나님의 사랑을 드러내는 삶을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블로그 독자 질문:
- 여러분은 부모의 조건 없는 사랑을 경험한 적이 있으신가요? 그 이야기를 나눠 주세요.
- 누군가를 용서함으로써 관계를 회복했던 경험이 있다면, 댓글로 여러분의 생각을 공유해 주세요!
댓글